맞추다 합격수기
맞추다로 공부하고
합격수기 공유하여 상품권 받아가세요!
*매달 말일에 한달 동안 합격 수기를 작성해주신 분 중 우수 후기자,
추첨 각각 10%를 선정하여 편의점 또는 스타벅스 1만원 상품권을 지급합니다!

응시시험
공부방식
응시횟수
공부기간
시간 아끼며 효율성 있게 공부하려면 맞추다 어플 이용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특정 세부 과목을 공부하는 팁이나 노하우
전공자 입장에선 쉽겠다 싶었고, 비전공자 입장에선 많이 어려울 수 있겠다고 느낀 게 전기기사 필기 시험이었습니다. 바로 기출로 들어가는 것보단 이론책 전공자 기준 (2회독) 비전공자 기준 (3~4회독) 정도 돌리고 기출로 넘어가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이론을 볼 때 이론만 보고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는 게 아닌, 이론 뒤에 딸려있는 문제도 같이 풀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제가 제일 난해하며 이게 뭐지 싶은 과목은 전기설비기술기준 과목이었습니다. 이것은 한 번에 처리한다는 느낌보다는 꾸준하고 틈틈이 반복적 학습이 중요할듯 싶습니다. 그 외에 과목인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력공학은 반복 숙달하면 어느정도 비슷한 느낌이 들지만, 제일 어렵다고 느낀 과목은 전기기기였습니다. 전기기기를 공부할 땐 동기기가 뭔지 유도기가 무엇인지 개념을 잘 확립하는 게 중요하고, 그 외에 종류를 암기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봅니다. 공부할 때 확실하게 아는것이 아닌 감각적으로 또는 애매하게 맞춘 문제는 체크 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제 기준으로 다시 풀었을 때 못 푸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어느정도 기출을 풀다보면 각 파트마다 점수가 높은 파트도 있고 낮은 파트도 나올텐데 여기서 자신이 어느 파트의 어느 부분이 약한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맞추다 활용방법, 어떻게 도움됐는지?
제가 필기공부하면서 느낀점은 정리를 정말 못한다였습니다. 또한 내가 어디 부분이 취약한지 정확한 파악이 안되는듯 했으나, 맞추다 어플을 통해 두 부분 모두 확실하게 보안했습니다. 기출책을 사서 공부하게 되면, 자신이 틀렸던 문제를 정리하는데 복잡하고 시간도 더 들이는 반면, 맞추다 어플의 문제 저장 기능을 통해 정리할 때 문제를 옮기거나 따로 적어두는 수고를 안해도 되는게 정말 좋았습니다. 또한 자신의 취약파트의 특정 부분만 따로 공부 할 수 있도록 전기기기의 직류기, 변동기, 변압기 파트 등, 이렇게 취약파트만 따로 풀 수 있다는게 정말 좋은 기능이었습니다.
다른 수험생을 위한 조언
저는 대학교 방학 기간동안 약 40일 정도 공부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짧은 기간인 만큼 기출문제는 10개년치밖에 못풀었지만,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지만, 더 안정적인 합격을 위해서는 15개년치 이상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저는 맞추다의 과목별, 개념별 문제를 다 풀어보고 기출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과목별, 개념별 문제를 어느정도 숙지했다면, 기출에서 웬만하면 70점대 이상은 확보 할 수 있습니다. 하루 공부 시간을 궁금한 분들이 많을 것 같아 말하자면, 저는 하루 4~6시간 공부했던 거 같습니다. 그리고 유의해야 할 사항은 제가 푼 기출 10개년치는 전부 80점 +-5점 정도 득점을 했지만, 필기 시험은 기존 유형 + 신유형가 추가로 나오게 됩니다. 시험 때는 어라? 생각보다 더 헷갈리고 모르는게 많네라고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자기가 안정권이라고 생각되어도 끝까지 열심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실기를 어떻게 준비할거지/준비했는지
똑같이 이론 숙지후 기출문제를 돌릴거 같습니다.





맞추다는 자격증 에듀테크 서비스로 수많은 문제들을 데이터화 시켜뒀어요.
매일매일 자신이 설정한 목표대로 커스텀 문제집이 생성돼요.
취약점을 노려가며 공부하면서 합격에 한 발짝 더 다가가 보세요.

즉각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맞추다는 문제를 하나하나 풀 때마다 정답과 해설을 바로 제공하며,
자신의 학습 스타일을 분석해 줍니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학습을 진행해 보세요.













맞추다는 문제를 하나하나 풀 때마다
정답과 해설을 바로 제공하며, 자신의 학습 스타일을 분석해 줍니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학습을 진행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