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빈출 개념 요약과 기출 팁 (feat. 합격생 요약본)

데이터베이스 과목 중 정규화, 트랜잭션, 인덱스는 헷갈리는 개념이 많아서 이렇게 노션에 직접 표로 정리했어요.

202503 29일 작성

프린트 말고 컴퓨터로 기출문제 풀자

말풍선 박스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과목, 빈출 요약과 공부법

안녕하세요, 맞추다 수험생 여러분! 🙌

오늘은 맞추다 수험생 중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합격한 비전공자 김나연 님의 인터뷰 후기를 가져왔어요.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인 '데이터베이스'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과목 중 하나로 자주 언급돼요. 따라서 나연 님은 어떻게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대비하셨는지 알아 보고, 데이터베이스 공부하는 수험생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도록 나연 님의 요약본을 공유해 드릴게요.



👩‍🦰 난이도가 가장 높은 데이터베이스 과목, 이렇게 공부했어요 (feat. 수험생 인터뷰)

정보처리기사 필기 준비하면서 가장 막막했던 과목이 바로 3과목 - 데이터베이스였어요. 정보처리기사 필기에서 SQL은 처음이고, 정규화는 외계어 같고, 트랜잭션은 한 번에 이해가 안 되더라고요. 그런데 기출문제 중심으로 공부하면서 이해 중심으로 접근하니까 훨씬 수월해졌어요. 실제로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중 이 과목에서 제일 점수가 잘 나왔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기출문제 3회독이 필수

처음엔 정보처리기사 이론을 간단하게 유튜브로 정리한 후 맞추다로 10개년 기출문제를 3회독했어요. 첫 번째 회독에서는 문제 유형 파악을 하고, 두 번째 회독에서는 헷갈린 개념 다시 정리를 했어요. 세 번째 회독에서는 틀린 문제 중심으로 복습했어요. 틀린 문제는 문제 읽어도 어떤 선지가 나올 지 맞출 정도로 맞추다 오답노트반복해서 풀었어요.

정보처리기사 기출 문제는 출제 경향과 반복되는 개념 파악에 정말 좋아요. 특히 SQL 관련 문제는 문제 지문만 봐도 정답이 보일 정도로 반복되더라고요. 기출 문제에서 나왔던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표로 정리했어요. 이 글에서는 제가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실제로 공부하면서 정리했던 ✅ 빈출 개념 요약시험에 자주 나오는 포인트기출문제 접근 팁을 모두 정리했어요. 이것만 이해해도 기출문제 풀기 훨씬 수월해지실 거예요.



[데이터베이스 개념 요약 및 출제 포인트]

1. 정처기 3과목: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정리

개념 요약
DB 여러 사용자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 집합
DBMS DB를 생성, 조작, 관리하는 시스템 (ex. Oracle, MySQL 등)
스키마 DB의 구조와 제약 조건 정의, 3계층 모델(외부/개념/내부)
데이터 독립성 논리적/물리적 구조 변경 시 상위 계층에 영향 없는 구조

📝 기출 포인트: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DBMS의 기능”, “스키마 종류”, “데이터 독립성 정의”는 정보처리기사 필기에 매회 등장하는 고정 문제였어요. 따라서 정의를 명확히 암기했어요.

2. 정처기 3과목: 데이터 모델과 ER 모델

구분 핵심 내용
개념적 모델 ER 모델로 구현, Entity(개체), Attribute(속성), Relationship(관계)
관계형 모델 현실 데이터 표현에 가장 많이 사용, 테이블 기반 구조
속성 종류 단일/복합/다치 속성, 유도 속성
관계 차수/카디널리티 1:1, 1:N, N:M 등 관계 수 표현

📝 기출 팁: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ERD 문제에서는 관계의 차수와 참여도, 속성 유형 구분이 자주 나왔어요.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에 그림으로 많이 나오는 편이에요.

3. 정처기 3과목: 정규화 (1NF ~ BCNF)

단계 정의 기출 포인트
1NF 모든 속성이 원자값을 가져야 함 속성에 중복된 값이 있으면 위반
2NF 부분 함수 종속 제거 복합키일 때 주의
3NF 이행 함수 종속 제거 A → B, B → C → A → C
BCNF 후보키가 아닌 속성이 후보키에 종속 고난도 문제에서 출제됨

📝 공부 팁: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정규화는 함수 종속이 키워드예요.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에선 "이 테이블은 몇 정규형인가요?", "이행 함수 종속은 무엇인가요?" 식으로 물어봐요. 전 이거 헷갈릴 때 표로 정리해서 암기했어요. (ex. 학번 → 이름, 이름 → 학과)

4. 정처기 3과목: SQL 문법과 활용

유형 예시
SELECT SELECT name FROM student WHERE age > 20;
GROUP BY SELECT dept, COUNT(*) FROM emp GROUP BY dept;
JOIN SELECT A.name, B.dept FROM A JOIN B ON A.id = B.id;
서브쿼리 SELECT name FROM emp WHERE salary > (SELECT AVG(salary) FROM emp);

📝 시험 팁: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SQL은 구문 순서만 정확히 알아도 맞출 수 있어요. JOIN, GROUP BY, 서브쿼리는 거의 매 시험에 나왔어요. 쿼리는 문장 해석보다는 쿼리 형태를 익히는 게 더 중요했어요. 저는 기출 SQL 문제만 따로 모아 2회독 했어요.

5. 정처기 3과목: 트랜잭션 & 병행 제어

개념 설명
트랜잭션 DB의 논리적 작업 단위
ACID 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
데드락 서로가 필요한 자원을 점유한 채 대기 상태
병행제어 Lock(로킹) 등을 통해 트랜잭션 충돌 방지

📝 기출 포인트: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ACID 4가지 속성은 정보처리기사 3과목 암기 필수예요! 병행제어 방식 중 낙관적/비관적 기법, 로킹 기법 유형도 기억해뒀어요.

6. 정처기 3과목: 무결성 제약조건 & 인덱스

항목 설명
PRIMARY KEY 고유값, NULL 불가
FOREIGN KEY 다른 테이블 참조, 무결성 유지
UNIQUE 중복값 허용 안 함, NULL은 허용
CHECK 조건 검사 (ex. CHECK(age > 18))
INDEX 검색 속도 향상을 위한 구조 (B-트리 기반)

📝 기출 팁: 제약조건 비교 문제는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에 2~3문항씩 자주 출제돼요. 특히 외래키 삽입 조건이나 무결성 위반 상황 예제가 자주 나와요.



👩‍🦰 (마무리) 데이터베이스는 기출이 정답이에요

정보처리기사 3과목 데이터베이스는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기출 기반으로 반복 학습하면 패턴이 보이기 시작했어요. 맞추다와 같은 CBT 사이트는 기출문제 반복학습에 정말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시험 준비하시는 동안 사용해 보시길 추천드려요. 저는 하루에 1시간씩만 투자해서 2주 안에 개념 정리 + 기출 3회독을 끝냈고, 실제 시험에서도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어요.

정보처리기사 필기, 특히 데이터베이스 과목은 암기 + 이해 + 반복이 핵심이에요. 데이터베이스 과목 중 정규화, 트랜잭션, 인덱스는 헷갈리는 개념이 많아서 이렇게 노션에 직접 표로 정리했어요. 시각적으로 구조를 정리하니까 암기가 더 쉬워졌고, 시험 전 날에는 이 정리표만 봐도 복습이 됐어요. 데이터베이스 과목에는 전산영어 문제도 함께 출제되기 때문에, SQL 용어들(SELECT, WHERE, JOIN 등)을 전산영어 파트에서도 자연스럽게 복습할 수 있었어요.

기출로 감을 잡고, 정리하면서 내 걸로 만드는 연습을 하면 저와 같은 비전공자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어요!




무거운 책 들고 다니지 말고, 맞추다만 있으면 끝!

맞추다는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를 웹이나 앱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서비스예요. 무료로 이용도 가능하니 가볍게 사용해 보세요! 절대 후회 없으실 거예요 🙇

맞추다 서비스 소개 이미지

👉 ’정보처리기사’ CBT 서비스 구경하기

📱 맞추다 앱으로 정보처리기사 합격하기

맞추다 앱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맞추다 앱 다운로드 (아이폰)

📚 정보처리기사 알짜배기 정보들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문제만 풀어도 합격할까?

정보처리기사 자격요건에 해당될까? (+ 비전공자, 자가진단)

정보처리기사 최근 4개년 합격률 분석하여 합격 전략 세우기

정보처리기사

에 관련된 다른 글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최근 4개년 합격률 분석하여 합격 전략 세우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의 합격률은 평균 55-65%로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나, 실기 시험의 합격률은 평균 20-30%로 낮은 편이에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공부법, 비전공자도 독학할 수 있을까?

모든 과목을 다 공부하기 보다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효율적으로 공부한다면 이론 없이 충분히 독학이 가능해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문제만 풀어도 합격할까?

정보처리기사 필기 준비 기간이 넉넉하지 않다면 개념서를 구매하기보다는 기출 문제부터 반복해서 푸는 것을 추천드려요. 왜냐하면 정보처리기사는 2022년 3회부터 CBT로 시험 방식이 바뀌어 문제은행 출제 비중이 늘어났기 때문이에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난이도, 기사 시험 중 제일 낮다고?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필기 시험의 난이도는 낮은 편이지만 실기 시험은 훨씬 높아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100% 노베이스 직장인, 2개월 만에 필기/실기 합격 후기

기출 풀 때마다 틀리고, 용어조차 처음 듣는 말들이었지만 방향을 잘 잡고, 반복적으로 익히면서 필기와 실기 모두 한 번에 붙을 수 있었어요.

미리보기

2024년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대한 기본 정보들과 응시 자격 등을 정리해봤어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업에서 정말 쓸모가 없을까?

정보처리기사 취득자를 우대하는 이유는 실제 실무에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없는 지원자보다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에요.

미리보기

“정처기”, 취업할 때 필요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필기, 실기 시험 합격 방법 알려드릴게요! + CBT 시험 대비 방법까지

합격률이 높지 않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의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한 번에 합격할 수 있는 방법,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CBT 시험 대비 방법, 실전 연습까지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도 정리해봤어요

미리보기

무조건 합격!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별 공부법

정보처리기사 과목 중 데이터베이스와 소프트웨어 설계는 필기와 실기 모두에서 비중이 크므로 집중적으로 학습하세요.

미리보기

정보처리기사 자격요건에 해당될까? (+ 비전공자, 자가진단)

정보처리기사 자격 요건은 전공자라면 학력 요건만 충족하면 응시 가능하지만, 비전공자의 경우 실무 경력이 요구될 수 있어요.